유럽인문아카데미가 본격 인문 강좌로 인문학의 새 지평을 엽니다.
유럽인문아카데미는 1년 3학기제로 운영됩니다.
봄학기 강좌는 3월부터 5월까지 가을학기 강좌는 9월부터 11월까지, 그리고 겨울학기 강좌는 12월부터 2월까지 운영되며 6월부터 8월까지 여름학기에는 강좌가 개설되지 않습니다.
유럽인문아카데미 정규강좌는 아래와 같이 세 개의 강좌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강의] 일반 청중을 대상으로 하는 대학 학부 수준의 유럽인문학 강좌입니다. [세미나] 유럽식 세미나 방식으로 진행되는 토론 강좌로 대학 석사 과정 수준의 심화 과정에 해당합니다. [원전강독] 유럽의 고전들을 원어로 강독하는 강좌입니다. 그 밖에 매학기 기획특강과 기타 강좌가 비정규로 운영됩니다.
유럽인문아카데미의 강의 시간은 아래와 같이 3교시 체제로 운영되며 매 교시마다 10분의 휴식 시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2년도 봄학기 강의 시간표 (학기: 2022. 3. 28.(월) ~ 2022. 6. 3.(금)) / 수강신청 기간 : 3월 14일(월) ~ 4월 4일(월)
월 | 화 | 수 | 목 | 금 |
---|---|---|---|---|
1교시(14:30-16:20) | ||||
[폐강] [강의] 문성욱, 저자의 발명- 중세 프랑스 문학 텍스트 읽기 |
[세미나] 손영창, 레비나스의 사유를 통해 본 타자론 |
온라인[강의] 이은영, 19세기 파리의 도시문화 |
[폐강] [강의] 임동현, 역사 속의 섹슈얼리티: 근대 유럽의 성윤리와 가족윤리 |
온라인·오프라인 [기획특강] 노경덕 · 김동혁, 새로운 세계에 대한 열망과 좌절: 소비에트 연방의 70년 역사 |
[원전강독] 김호균, 맑스 『자본론』 VI |
[세미나] 윤미애, 벤야민 텍스트 읽기 I – 벤야민의 문학비평 |
|
[강의] 권희진, 유럽에서 태동한 언어철학: 프레게, 러셀, 비트겐슈타인을 중심으로 |
|
|
[원전강독] 허민준, 아리스토텔레스『명제론』의 보이티우스(Boethius) 라틴어 번역 강독 |
|
온라인 [강의] 이승진, 브레히트. 서정시를 쓰기 힘든 시대의 시와 노래 I |
2교시(16:30-18:20) | 온라인 [강의] 김승우, 비엔나에서 시카고로: 신자유주의의 역사 |
|
[강의] 김영아, 셰익스피어를 통해 세상을 읽다 |
[폐강] [강의] 이재영, 괴테의 『파우스트』읽기: 비극 제2부 (I) |
온라인 [원전강독] 김병재, 아담 스미스의 『도덕감정론』 강독 Ⅲ |
|
[폐강] [세미나] 이재훈, 데카르트의 『제1철학에 대한 성찰』, 철학자들의 철학책 |
[강의] 홍용진, 십자군 효과: 변동하는 중세사회의 욕망들 |
|
[세미나] 주나미, 서양 중세의 일상과 심성 |
[세미나] 최성철, 격동의 독일 근현대사: 1871~1990 |
|||
[원전강독] 김동훈, 헤겔 『정신현상학』 강독 III |
||||
3교시(19:30-21:20) | ||||
팀티칭 [강의] 박지배·이은해·김한결·전우형·임경화, 유럽의 팽창과‘콘택트 존’ |
[강의] 남기헌, 제임스 조이스의 『율리시스』의 이해 |
[폐강] [강의] 나혜심, 이주의 역사와 여성: 여성은 이주를 통해 무엇을 얻고자 하는가? |
온라인 [강의] 김대보, 프랑스혁명 자세히 보기 |
[강의] 김동훈, 하이데거, 샤피로, 데리다 예술 논쟁: 고흐의 구두 그림을 중심으로 |
[강의] 박문정, 피렌체 읽기: 단테에서 타부키까지 |
[강의] 배세진, 마르크스와 푸코 함께 읽기 |
[세미나] 진태원, 스피노자 『윤리학』 읽기 I: 실체, 속성, 양태 |
[강의] 김아리, 바빌로니아의 범죄사회학 |
온라인 [강의] 김율, 눈부신 고중세미학 |
[폐강] [강의] 이창곤, 복지정치의 동학 - 영국, 스웨덴, 독일 등 유럽과 한국의 복지정치에 대한 역사적 탐색 |
온라인 [세미나] 한성안, 인문학적 주제가 있는 비주류경제사상사(Ⅱ) |
[폐강] [원전강독] 윤형식, 칸트 『순수이성비판』 원전강독 Ⅵ |
[세미나] 송홍진, 『파리의 우울 Le Spleen de Paris』 깊이 읽기 |
[강의] 윤희두, 격동과 파란의 그리스 근현대사 Ⅰ |
온라인 [강의] 김석모, 고대에서 르네상스로의 미술여행 : 서양 중세미술 |
[세미나] 최성만, 호르크하이머/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법』 읽기 II |
|
|
[원전강독] 이재영, 독일 근대 비극론 강독 |
온라인 [세미나] 박규희, 왜 철학이 삶에 위안이 되는가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