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안내
강좌안내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이용문의 :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 | 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
(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강좌 정보
- 독일 Bremen대학교 경제학박사 (박사논문: “Modifikationen der Wirkungsweise des Wertgesetzes auf dem Weltmarkt durch das Monopol“ (세계시장에서 독점에 의한 가치법칙 작용방식의 수정)
- 명지대학교 경영정보학과 명예교수
- ‘자본론’ 해설서: “신정치경제학개론”(1992년)
- ‘자본론’ 관련 학술 논문: “정치경제학 비판의 서술방법에 관한 연구”(2018년) “맑스 계급론의 재구성과 현대화”(2016) 외
- 번역서: 『정치경제학 비판을 위하여』, 『자본론에 관한 서한집』, 『정치경제학비판 요강』 외.)
K. Marx,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Marx-Engels-Werke, Band 23, Dietz Verlag, Berlin.
* 온라인 구매가 가능하며, 무료로 PDF파일로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
강의 계획
12월 18일(월) 2교시 (16:30-18:20)
자본론 제1권의 마지막 학기로서 제23장 자본축적의 일반법칙에 대한 연속강독으로 시작한다. 제3절 상대적 과잉인구의 누진적 생산, 산업예비군의 생산이다. 생산력 발전과 자본축적의 속도에서 차이가 발생하면서 가변자본보다 불변자본의 증가속도가 빨라지고 상대적 과잉인구가 생산된다. 사나업예비군은 근대 산업의 “생명조건”이다.
12월 25일(월)
휴강
1월 1일(월)
휴강
1월 8일(월) 2교시 (16:30-18:20)
상대적 과잉인구는 유동적, 잠재적, 정체된 과잉인구의 세 가지 형태를 가진다. 자본축적은 빈곤의 축적이다. “노동귀족”은 노동자계급에서 가장 임금이 높은 분파이다.
1월 15일(월) 2교시 (16:30-18:20)
제24장 “소위 시초축적”은 자본주의 생산양식의 등장조건(출발점)이 역사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을 서술하는 부분이다. 그 과정은 생산자와 생산수단의 역사적 분리과정이다. 봉건제에서 자본주의로의 이행은 “에속의 형태변화”이다.1월 22일(월) 2교시 (16:30-18:20)
시초축적의 한 계기로서 임노동자계급의 형성은 농민으로부터 토지의 수탈, 토지로부터 농민의 추방이다. 역사적으로 종획운동, 종교개혁, 공유지 소멸, 국유재산 약탈으로 나타났다.1월 29일(월) 2교시 (16:30-18:20)
임노동자계급의 형성을 위해서는 토지로부터 추방된 무산자대중의 등장 민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무산자대중은 국가강제에 의해서 비로소 임노동자로 전환된다. 이들은 자본에 “형식적으로만 예속”된다.2월 5일(월) 2교시 (16:30-18:20)
자본주의적 차지농의 형성은 농업혁명에 따른 농민 빈곤화, 농산물 가격 상승 등을 계기로 하여 16세기에 이루어진다. 시초축적은 자본이 필요로 하는 국내시장의 창조를 의미한다. 산업자본가의 형성은 차지농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국가권력이 경제적 “역량”으로 작용한다. 중앙은행은 사적 투기꾼들의 결집이다.2월 12일(월)
휴강
2월 19일(월) 2교시 (16:30-18:20)
24장 마지막에서는 자본주의로부터 사회주의로의 이행을 소유의 변증법을 이용하여 “부정의 부정”으로 추상적으로 간략하게 기술하고 있다. 자본론 제I권의 마지막 장은 제25장 “근대적 식민화이론”이다. 자본이 사물이 아니라 사회적, 역사적 생산관계임을 강조하고 있다.강의 계획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