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안내

지난 강좌 목록

기획특강[온라인] 지금, 여기, 보들레르를 다시 만나다: 『악의 꽃』과 『파리의 우울』

|강사 송홍진

|정원 50명
|강의실 온라인

|강좌일시 목요일 3교시

|강좌번호 2021-02-A01

 

 

강좌 정보
강좌소개“샤를 보들레르는 누구인가?” 현대시의 비조이자 현대성의 시인, 예술비평의 선구자로 현대의 고전이 되어 모두에게 너무나도 잘 알려져 있는 보들레르에 대한 새삼스러운 질문이다. 두 세기 가까운 시간 동안 축적된 방대한 보들레르 연구는 시인의 작품을 불멸의 정전으로 만들었다. 질문을 바꾸어보자. “어느 것이 진짜 보들레르인가?”, “보들레르는 왜 여전히 문제적인가?” 시인이 한 세계의 종말을 예감하고 자본주의 체제의 태동을 목격했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본질을 꿰뚫어 보았다는 점에서, 우리는 보들레르와 동시대인이다. 본 강좌는 보들레르가 관통한 19세기 중반 유럽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바탕으로 보들레르 미학과 시학의 정수를 음미하는 한편 그동안 간과되었던 면모들을 새롭게 재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운문시집 『악의 꽃 Les Fleurs du Mal』(제 2판, 1861), 그리고 이와 짝을 이루는 산문시집 『파리의 우울 Le Spleen de Paris』에 대한 강해 과정에서 보들레르 연구사의 주요 쟁점들이 함께 검토될 것이다. 하지만 무엇보다 보들레르 작품의 문학적 깊이와 시적 아름다움에 도취해보자.
강사소개송홍진 (humanroute23@gmail.com)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낭테르대학에서 보들레르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보들레르를 새롭게 조명하는 연구를 지속하는 한편 문화 속에서 문학과 사회가 맺는 관계, 텍스트와 작가의 반성성 문제 등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예술비평(미술, 영화, 이미지 등)과 미디어 미학 연구로 범위를 넓히고 있다. 현재 서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다. 주요논문으로 「보들레르 시학에서 미디어 예술의 역할과 매개 미학」, 「보들레르와 신문: 저널리스트 시인 보들레르」, 「보들레르의 풍자시집 『벨기에의 매력 Amœnitates Belgicæ』 연구: 현대 문명 비판과 에피그램의 시학」 등이 있다.
진행방식- [원격강좌 수강지침 동의서]를 제출해야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제출처 : 유럽인문아카데미 이메일(acaeuhu@naver.com)로 제출
*[동의서] 양식은 유럽인문아카데 홈페이지의 [지원센터]-[공지사항] 란에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개강 전 이메일로 강좌 접속을 위한 ‘유튜브 링크’를 전달합니다.
*유럽인문아카데미 홈페이지 회원가입시 기입한 이메일로 전달합니다.
- 온라인 수강신청자는 원칙적으로 오프라인 수강이 불가합니다.
- 온라인 수강 시, 출석체크는 유튜브 댓글 창으로 진행합니다. 강좌가 진행되는 동안 유튜브 댓글 창에 [성함]과 [출석합니다] 문구를 남겨 주셔야 출석 인정됩니다.
ex. 유인아, 출석합니다.
- 강좌가 오프라인과 온라인으로 동시에 진행되는 관계로 온라인으로 수강하시는 분의 경우 질문은 유럽인문아카데미 메일(acaeuhu@naver.com)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 강의와 질의응답 및 자유토론으로 구성된다.
- 테마별 강의와 더불어 『악의 꽃』과 『파리의 우울』의 흐름을 선형적으로 따라가며 주요 작품들을 깊이 있게 읽는다. 이 과정에서 보들레르의 예술비평, 단장집, 서간 등을 폭넓게 소개하고 참조할 것이다. 원문과 번역문을 함께 볼 것이므로 프랑스어를 알지 못해도 수강에 전혀 문제없다.
- 수업은 오프라인 방식을 원칙으로 하되, 코로나19 상황과 수강인원에 따라 전체적 혹은 부분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될 수 있다.
교재PT자료, 배포 자료
참고문헌

Ch. Baudelaire, Œuvres complètes, Claude Pichois éd., tome I et II, Paris, Gallimard, “Bibliotèque de la Pléiade”, 1975.


『보들레르 시전집』, 박은수 역, 민음사, 1995. (『악의 꽃』 다른 번역본 참고해도 무방)

『파리의 우울』, 황현산 역, 문학동네, 2015.

『벌거벗은 내 마음』, 이건수 역, 문학과지성사, 2001.

샤를 보들레르 외, 조은섭 역, 『해시시 클럽 – 위대한 작가들의 은밀한 실험실』, 지식의편집, 2020.

『현대의 삶을 그리는 화가』, 정혜용, 양효실 역, 은행나무, 2014.

『화장예찬』, 도윤정 역, 평사리, 2014.


마르셀 레몽, 『프랑스 현대시사: 보들레르에서 초현실주의까지』, 김화영 옮김, 현대문학, 2007.

후고 프리드리히, 『현대시의 구조: 보들레르에서 20세기 중반까지』, 장희창 옮김, 지만지 클래식, 2009.

도미니크 랭세, 정명희 옮김, 『보들레르와 시적 현대성』, 고려대출판문화원, 2021.


Walter Benjamin, Charles Baudelaire, Un poète lyrique à l’apogée du capitalisme, Paris, Payot, 1990.

Steve Murphy, Logiques du dernier Baudelaire. Lectures du “Spleen de Paris”, Paris, Champion, 2003.

Alain Vaillant, Baudelaire poète comique, Rennes, PUR, 2007.

Corinne Bayle, Nocturne de l’âme moderne: Le Spleen de Paris de Charles Baudelaire, Rouen, PURH, 2014.


- 원서 참고 가능 수강생을 위해 별도 목록 제공 예정.

강좌횟수총 10회
난이도 및 수강요건-






강의 계획
1주차

09월 09일(목) 3교시 

시란 무엇인가? - 프랑스 시의 신화적 기원: 기억술의 노래

2주차

09월 16일(목) 3교시 

19세기 시의 역사시학적 조건: 저널리스트 시인 보들레르

3주차

09월 23일(목) 3교시 

『악의 꽃』 (I) : 보들레르 시적 자아의 탄생 – 악의 기원과 미의 이상

4주차

09월 30일(목) 3교시 

『악의 꽃』 (II) : 애인들의 환영과 물질화된 우울 – 초자연주의와 아이러니

5주차

10월 07일(목) 3교시 

『악의 꽃』 (III) : 파리 풍경과 알레고리 – 세계와 자아의 이중거울 
6주차

10월 14일(목) 3교시 

『악의 꽃』 (IV) : 죽음으로의 여행 
7주차

10월 21일(목) 3교시 

『파리의 우울』 (I) : 당디 예술가 시인의 초상 
8주차

10월 28일(목) 3교시 

『파리의 우울』 (II) : “자아의 발산과 집중에 관하여” - 영혼의 성스러운 매음과 예술의 원리 그리고 자비의 의미 
9주차

11월 04일(목) 3교시 

『파리의 우울』 (III) : 창문과 거울 
10주차

11월 11일(목) 3교시 

최후의 보들레르: 원숭이 나라의 풍자시인 – 시의 실패와 폭력의 시학  


강의 계획서 다운로드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이용문의 :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naver.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 | 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Hosting by (주)아임웹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by 유럽인문아카데미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naver.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

(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관련 사이트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Hosting by (주)아임웹 |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by 유럽인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