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사소개 | 김동훈 (bremendhk@daum.net)
서울대 법대, 총신대 신학대학원,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서울대, 한예종, 덕성여대, 경희대 등에서 철학, 미학 관련 강의를 해오고 있으며, 노숙인을 위한 인문학 과정 성프란시스대학 예술사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학 관련 저, 역서로는 『행복한 시지푸스의 사색: 하이데거 존재론과 예술철학』(저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1: 미학』(역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2: 아름다움과 숭고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역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3: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비극에 대하여 외』(역서), 『독일음악 미학』(공역) 등이 있다. |
진행방식 | 하이데거, 샤피로, 데리다가 고흐의 구두 그림을 둘러싸고 벌인 논쟁의 내용을 1)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Der Ursprung des Kunstwerkes; 1935), 2) 샤피로, 『예술이론과 예술철학: 양식, 예술가 그리고 사회』(Theory and Philosophy of Art: Style, Artist, and Society; 1994), 3) 데리다, 『회화 예술에서의 진리』(La Vérité en Peinture; 1976)의 해당 본문을 상세하게 해설하는 방식으로 진행할 것이다.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예술의 본질로 제시한 ‘존재자의 진리의 작품 속으로의 정립’을 어떻게 고흐의 구두 그림을 통해서 근거 짓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사물과 작품, 작품과 진리, 진리와 예술이라는 세 주제로 세분하여 그가 어떻게 자신의 해석을 정당화하는지 상세하게 고찰할 예정이다. 샤피로의 경우에는 그가 왜 고흐의 구두 그림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정면으로 비판하는지 자세하게 분석할 것이다. 미술사가로서 그가 취하는 작가론적 입장이 하이데거의 입장과 어떤 지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는지에 주목하면서 그의 반론을 고찰할 예정이다. 데리다의 경우에는 그가 어떤 근거로 두 사람의 주장을 비판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어떤 점에서 하이데거의 주장을 수용하고 어떤 지점부터는 그와 견해를 달리하는지 살펴볼 것이고, 샤피로의 경우에는 그가 어떻게 샤피로의 주장을 반박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세 학자의 주장에 대한 고찰이 끝나면 21세기 현대예술의 관점에서 그들의 이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가늠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
참고문헌 | 마르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 『숲길』, 신상희 옮김, 나남, 2008, pp. 9-114 Martin Heidegger, “Der Ursprung des Kunstwerkes”(1935) in: Holzwege, Vittorio Klostermann, 1980(1950), pp. 1-72 Meyer Schapiro, “The Still Life as a Personal Object ― A Note on Heidegger and van Gogh”(1968) in: Theory and Philosophy of Art: Style, Artist, and Society (이하 SAS), George Braziller, 1994, pp. 135-142 ----------------------, “Further Notes on Heidegger and van Gogh” (1994) in: SAS, pp. 143-151 ----------------------, “On a Painting of van Gogh” (1946) in: Modern Art: 19th & 20th Centuries, George Braziller, 1978, pp. 87-99 Jacques Derrida, “RESTITUTIONS de la Vérité en Peinture” in: La Vérité en Peinture, Flammarion, 1978, pp. 291-436 |
강좌 정보
이 강좌의 목적은 고흐의 구두 그림을 둘러싸고 20세기 가장 위대한 서양 철학자 중 한 사람인 마르틴 하이데거와 역시 20세기 가장 위대한 서양미술사가 중 한 사람인 마이어 샤피로, 20세기 후반을 풍미했던 포스트모더니즘의 대표 철학자 중 한 사람인 자크 데리다 사이에 벌어진 예술 논쟁의 내용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서양의 예술이론과 실천이 20세기 들어 어떤 혁명적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가능해 보고자 한다.
서울대 법대, 총신대 신학대학원,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브레멘 대학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귀국 후 서울대, 한예종, 덕성여대, 경희대 등에서 철학, 미학 관련 강의를 해오고 있으며, 노숙인을 위한 인문학 과정 성프란시스대학 예술사 담당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미학 관련 저, 역서로는 『행복한 시지푸스의 사색: 하이데거 존재론과 예술철학』(저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1: 미학』(역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2: 아름다움과 숭고의 관념의 기원에 대한 철학적 탐구』(역서), 『근대미학 원전 시리즈 3: 취미의 기준에 대하여/비극에 대하여 외』(역서), 『독일음악 미학』(공역) 등이 있다.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예술의 본질로 제시한 ‘존재자의 진리의 작품 속으로의 정립’을 어떻게 고흐의 구두 그림을 통해서 근거 짓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사물과 작품, 작품과 진리, 진리와 예술이라는 세 주제로 세분하여 그가 어떻게 자신의 해석을 정당화하는지 상세하게 고찰할 예정이다.
샤피로의 경우에는 그가 왜 고흐의 구두 그림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을 정면으로 비판하는지 자세하게 분석할 것이다. 미술사가로서 그가 취하는 작가론적 입장이 하이데거의 입장과 어떤 지점에서 분명한 차이를 드러내는지에 주목하면서 그의 반론을 고찰할 예정이다.
데리다의 경우에는 그가 어떤 근거로 두 사람의 주장을 비판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관점을 제시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하이데거의 경우에는 그가 어떤 점에서 하이데거의 주장을 수용하고 어떤 지점부터는 그와 견해를 달리하는지 살펴볼 것이고, 샤피로의 경우에는 그가 어떻게 샤피로의 주장을 반박하는지 살펴볼 것이다.
세 학자의 주장에 대한 고찰이 끝나면 21세기 현대예술의 관점에서 그들의 이론에 대해 어떻게 평가할 수 있는지 가늠해보는 시간을 가질 것이다.
마르틴 하이데거, 「예술작품의 근원」, 『숲길』, 신상희 옮김, 나남, 2008, pp. 9-114
Martin Heidegger, “Der Ursprung des Kunstwerkes”(1935) in: Holzwege, Vittorio Klostermann, 1980(1950), pp. 1-72
Meyer Schapiro, “The Still Life as a Personal Object ― A Note on Heidegger and van Gogh”(1968) in: Theory and Philosophy of Art: Style, Artist, and Society (이하 SAS), George Braziller, 1994, pp. 135-142
----------------------, “Further Notes on Heidegger and van Gogh” (1994) in: SAS, pp. 143-151
----------------------, “On a Painting of van Gogh” (1946) in: Modern Art: 19th & 20th Centuries, George Braziller, 1978, pp. 87-99
Jacques Derrida, “RESTITUTIONS de la Vérité en Peinture” in: La Vérité en Peinture, Flammarion, 1978, pp. 291-436
강의 계획
04월 01일(금) 3교시
1) 강의 소개
2) 하이데거의 철학 사상과 미학 사상에 대한 간략한 소개
04월 08일(금) 3교시
「예술작품의 근원」 속에 나타난 하이데거의 예술론: 1. 사물과 작품
(고흐의 구두 그림을 통한 예술의 본질에 대한 고찰: 존재자의 진리의 작품 속으로의 정립)
04월 15일(금) 3교시
「예술작품의 근원」 속에 나타난 하이데거의 예술론: 2. 작품과 진리
(고대 그리스 신전을 통한 예술의 본질에 대한 고찰: 세계와 대지의 싸움)
04월 22일(금) 3교시
「예술작품의 근원」 속에 나타난 하이데거의 예술론: 3. 진리와 예술
(작품의 보존과 예술의 본질로서의 <시> 짓기)
04월 29일(금) 3교시
1) 마이어 샤피로의 예술(사)관에 대한 간략한 소개2) 샤피로의 하이데거 예술론 비판 1: 고흐의 구두 그림의 주인은 농부 아낙네가 아니라 도시인이다!
05월 06일(금) 3교시
2) 샤피로의 하이데거 예술론 비판 2: 예술작품에는 작가의 삶이 투영된다 .05월 13일(금) 3교시
1) 데리다의 철학 사상과 미학 사상에 대한 간략한 소개2) 『회화 예술에서의 진리』 속에 나타난 데리다의 예술론: 1. 샤피로의 비판에 대한 재비판 – 농부 아낙네의 구두가 아니라는 증거는 존재하지 않는다!
05월 20일(금) 3교시
『회화 예술에서의 진리』 속에 나타난 데리다의 예술론: 2. 하이데거에 대한 비판 – 그렇다고 농부 아낙네의 구두라는 증거도 없다!05월 27일(금) 3교시
『회화 예술에서의 진리』 속에 나타난 데리다의 예술론: 3. 부록, 장식, 유령, 도플갱어, 섬뜩함06월 03일(금) 3교시
종합적 고찰 및 결론강의 계획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