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일정

2025년도 가을학기
학사일정

유럽인문아카데미는
1년 3학기제로 운영됩니다.


  봄학기   


4월 ~ 6월


가을학기


9월 ~ 11월


겨울학기 


12월 ~ 다음 해 2월



* 여름 학기에는 강좌가 개설되지 않습니다.

정규강좌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강의     


대학 학부 수준의 유럽인문학 강좌입니다.


  세미나  


수강생이 발표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럽식 세미나
방식의 강좌로 대학 석사 과정 수준의 심화 과정에 해당합니다.


원전강독 


유럽의 고전을 원어로 강독하는 강좌입니다.



* 그 밖에 매학기 [기획특강]과 기타 강좌가 비정규로 운영됩니다.

* 각 강좌의 난이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별 강좌계획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유럽인문아카데미는 1년 3학기제로 운영됩니다.


  봄학기   


4월 ~ 6월


가을학기


9월 ~ 11월


겨울학기 


12월 ~ 다음 해 2월



* 여름 학기에는 강좌가 개설되지 않습니다.


정규강좌는 아래와 같이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강의     


대학 학부 수준의 유럽인문학 강좌입니다.


  세미나  


수강생이 발표와 토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유럽식 세미나
방식의 강좌로 대학 석사 과정 수준의 심화 과정에 해당합니다.


원전강독 


유럽의 고전을 원어로 강독하는 강좌입니다.



* 그 밖에 매학기 [기획특강]과 기타 강좌가 비정규로 운영됩니다.

* 각 강좌의 난이도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개별 강좌계획서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 시간표

2025년도 가을학기 강의 시간표

학기 : 2025. 8. 25. (월) ~ 2025. 11. 7. (금)  | 수강신청 기간 : 8. 11. (월) 14:00 ~ 8. 25. (월) 10:00  |   수강 취소 및 환불 가능 기간 : ~ 9. 1. (월) 14:00까지

추석 연휴 휴강주간 : 10. 6. (월) ~ 10. 10. (금) [모든 강좌 휴강]


■   1교시(14:30 - 16:20)  ■ 
[강의]
박찬길

시와 혁명:

낭만주의 영시 읽기


[강의] 온라인
김병재

데이비드 흄의 『인간 본성에 관한 논고』 1권 강독


[세미나]
배윤호

가상예술의 꿈,

환상에서 몰입으로


[세미나] 온라인
김경연

유럽 아동청소년문학의 이해 III: 마리아 니콜라예바 이론을

중심으로(2)

 



[강의]
이철의

발자크와 그의 시대 I :

발자크와 리얼리즘의 문제


[강의]
신혜수

현대문명을 가로지르는 음악





[강의]
조현수

칼 맑스의 정치사상:

맑스의 정치사상은 어떠한

현재적 의미를 가지는가?






■   2교시(16:40 - 18:30)  ■ 
[강의] 온라인
김동혁

러시아와 동유럽 현대사의 이해


[강의] 온라인
류지이

변혁의 시대:

17-18세기 유럽 미술


[강의]
고반석

북해 교역의 중심에서

세계 경제의 중심으로:

우리가 몰랐던

네덜란드의 역사 10~17세기



[강의]
박규희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 인간에 대한 중세와

르네상스의 철학적 성찰

[강의]
김혜란

체호프 희곡 깊이 읽기:

『갈매기』에서

『벚나무 동산』까지


[강의]
김유정

사무엘 베케트, 기억과 예술:

자서전적 글쓰기를 통해 보는

작품 세계


[강의]
임홍배

괴테 소설의 여성 인물로

보는 사랑과 행복


[강의] 온라인
홍용진

십자군:

변동하는 중세 사회의 욕망들


[강의]
성중모

로마법

- 이 세상 모든 법의 어머니


[세미나]
임동현

비코의 『새로운 학문(Scienza nuova)』 깊이 읽기 II

[강의]
박문정

이탈리아 문학의 최전선:

균열을 통해 삶을 응시하다




[강의]
신정훈

분단 시대의 동독사



[세미나]
최성철

유럽의 전체주의

[강의]
최성만

벤야민의 매체이론




[강의]
이승진

브레히트의 매체미학과

매체실험 II : 음반, 라디오, 사진



■   3교시(19:30 - 21:20)  ■ 
[강의] 온라인
김율

인간 존재:

고중세의 철학적 인간학


[세미나]
강병호

칸트: 도덕이란 무엇인가?

『도덕형이상학 정초』 읽기


[세미나]
권희진

논리 실증주의: 형이상학을

전복시킨 비엔나의 정신


[강의] 온라인
김대보

18세기 프랑스:

절대왕정, 계몽주의,

혁명 없는 프랑스 이야기


[기획특강온/오프라인]
김동혁 외 7인

위기의 소용돌이, 20세기 초

전간기 유럽을 되돌아 본다


[세미나]
김은주

스피노자의 감정 철학 -『윤리학』 3부 읽기


[강의] 온라인
양희민

비잔티움 제국의 역사가들:

인물과 역사서로 보는

신비로운 중세 지중해 이야기


[강의]
김진영

양차대전사 :

전쟁을 통해 보는 유럽근현대사


[강의] 온라인
송홍진

발터 벤야민의

보들레르론 읽기



[원전강독] 
김동훈

헤겔 『정신현상학』 원전강독 세미나 XIII



[강의]
도하나, 박문정

텍스트와 선율 사이 인간:

이탈리아 오페라

[강의]
최원빈

‘일상성’으로 바라본

서양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부터

현대 현상학까지


[세미나]
문준영

이탈리아 파시즘의 역사:

탄생부터 무솔리니 정권의

몰락까지


[강의]
이준석

소포클레스 비극 읽기:

『오이디푸스 왕』,

『안티고네』

[원전강독] 
반기현

타키투스의 De Vita Iulii Agricolae 읽기 III


[세미나]
박단

프랑스공화국의 이상과 현실 I : 식민주의와 노예제



[세미나]
최일만

후설의 『내적 시간의식의

현상학에 대한 강의』 읽기


[강의]
이지선

헤겔 법철학을 통해 본 근대 사회철학의 쟁점들 II

[강의]
최가람

로베르트 발저의

‘작은 문학’ 읽기


[원전강독] 
이재영

쉴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에 대한 편지』원전강독 II

[원전강독]
조태구

베르크손(Bergson)의 『물질과 기억(Matière et Mémoire)』원전강독 II






* 모바일 환경에서는 표를 좌우로 슬라이드하여 확인해주세요. *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이용문의 :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 | 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Hosting by (주)아임웹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by 유럽인문아카데미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

(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관련 사이트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Hosting by (주)아임웹 | Copyrightⓒ All rights reserved by 유럽인문아카데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