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안내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이용문의 :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 | 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2@gmail.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
(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 이 기획특강은 유럽인문아카데미 유튜브 채널에 일부 게시되어있습니다.
강좌 정보
서울여자대학교 교양대학 현대철학 교수, 사회정치철학 전공
이하준 (leefreiheit@hanmail.net)
한남대 탈메이지교양융합대학 철학 주임교수, 사회철학/문화·예술철학 전공
한상원 (hansw82@hanmail.net)
충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사회정치철학 전공
고지현 (jihyunphil@daum.net)
가천대 아시아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매체철학/매체미학 전공
임채광 (limchaikuang@hanmail.net)
대전신학대학교 철학 담당 교수, 문화철학/철학적 인간학 전공
권오용 (owing33@gmail.com)
충남대학교 사회학과 강사, 사회학 전공
김원식 (wonsik1@hanmail.net)
국가안보전략연구소 책임연구위원, 사회정치철학 전공
강의 계획
04월 13일(목) 3교시 (19:30-21:20)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역사와 패러다임 전환: 문성훈>
: 프랑크푸르트학파 100년의 역사를 소개하고, 그동안 사회비판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보면서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지적 전통이 무엇인지를 이해한다.
04월 20일(목) 3교시 (19:30-21:20)
<비판이론의 설계자 호르크하이머의 사상 : 이하준>
: 호르크하이머가 왜, 무엇을 위해 프랑크푸르트학파를 설계했는지 그 이유와 당면문제, 야만의 정점인 나치즘의 재발 방지를 위한 실천전략, 변화된 사회조건에서 그의 비판이론이 갖는 의미를 소개한다.
04월 27일(목) 3교시 (19:30-21:20)
<아도르노의 생애와 사상-『부정변증법』을 중심으로: 한상원>
: 아도르노의 생애와 주요 사상을 소개한다. 비판이론가로서 그의 사유가 가진 고유한 의미가 무엇인지, 그것이 오늘날 사유 지형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부정변증법』을 중심으로 전개해보고자 한다.
05월 04일(목) 3교시 (19:30-21:20)
<마르쿠제의 ‘일차원적 인간의 사회’ 비판: 임채광>
: 프랑크푸르트학파의 초창기 사상가였던 마르쿠제의 삶과 사상을 살펴본 후, 그의 사회이론의 특징들을 정리해 강의한다. 특히 그의 철학이 현재 우리 사회에 대한 이해에 어떻게 접목될 수 있는지 함께 고민해 본다.
05월 11일(목) 3교시 (19:30-21:20)
<벤야민의 매체미학론: 고지현>
: 이 강연은 벤야민의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의 배경을 이루는 ‘제2의 자연’을 중심으로 매체미학론의 비판 기획을 살펴보기로 한다.
05월 18일(목) 3교시 (19:30-21:20)
<마음에 대한 비판이론가 에리히 프롬: 권오용>
: 『사랑의 기술』, 『소유냐 존재냐』 등 대중서의 저자로 유명한 에리히 프롬의 문제의식과 그 학문적 발전과정을 추적하면서 현대사회에서 프롬의 작업이 갖는 의의를 탐색해본다.
05월 25일(목) 3교시 (19:30-21:20)
<하버마스의 의사소통 패러다임: 김원식>
: 하버마스의 이력과 시대적 배경, 그의 핵심 사상인 의사소통 패러다임과 시대진단을 소개한다. 그리고 하버마스 사상의 한국 수용과 과제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06월 01일(목) 3교시 (19:30-21:20)
<호네트-병리적 사회극복을 위한 인정 투쟁: 문성훈>
: 프랑크푸르트학파 3세대의 대표자인 악셀 호네트의 인정이론을 인정과 무시 개념을 통해 살펴보고, 그가 사회 발전의 도덕적 추동력으로 본 인정 투쟁이 무엇인지 소개한다.
06월 08일(목) 3교시 (19:30-21:20)
<프랑크푸르트학파와 한국사회: 기획 특강 강사 전원 참석>: 기획 특강을 총정리하는 의미에서 프랑크푸르트학파가 한국사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는 데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마무리 차원에서 종합토론을 진행한다.
강의 계획서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