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이용문의 :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naver.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 | 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Contact Us
전화 : 02-529-9080 (월-금 15시 ~ 18시)
이메일 : acaeuhu@naver.com
강의실 주소 : 서울시 서초구 매헌로 6길 54
(양재 2동 206-9), 김희경유럽정신문화장학재단 지하 1층
About Us
대표 : 윤형식|사업자등록번호 : 212-82-77020
주소 :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간매3길 14-15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2023-경기여주-00121 호
[역서]
「13세기 말∼14세기 초 프랑스 왕권 이미지 생산」, 『역사학보』, 214, 역사학회, 2012.
「백년전쟁과 왕국의 개혁, 그리고 정치체에 대한 권리: 14세기 정치적 담론장 파리를 중심으로」, 『프랑스사연구』, 34, 한국프랑스사학회, 2016.
「14세기 프랑스 문자기록문화의 변화양상: 필리프 6세 십자군 문헌 모음집의 경우」, 『서양중세사연구』, 39,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017.
첫 번째 질문. 19세기까지 우리나라는 중국 제국 옆에서도 독자적인 삶을 꾸려왔는데, 어떻게 20세기 이후로 일본 제국주의 치하에서 서양화되었을까? 두 번째 질문. 현대의 우리는 (외국어 문제만 아니라면) 19세기 말의 조선 사람과 미국 사람 중 누구와 더 이야기가 잘 통할까?
전 세계 삶의 기준을 만들어낸 서구 근대란 무엇이며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문명의 수준이 중세까지만 해도 지구 여타 지역의 다른 곳과 크게 다를 바 없던 서구는 왜 갑자기 일반적인 세계사의 흐름에서 일탈하여 이른바 ‘근대성’을 발명했는가? 자연이 정해 놓은 유리천장을 깨면서 급격하게 인간중심주의의 세계를 만들어 놓은 서구 문명은 인류사의 차원에서 보편적 기준이 아닌 병리적 분석 대상이다. 서구 근대 문명의 세 동력인 자본주의, 근대국가, 근대적 학문체계의 상관관계, 그리고 중세부터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근대성의 발생 과정을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로 삼고 있다.